티스토리 뷰

봄나들이 답청 즐거움답백초와 꽃놀이라고도 불리며, 중국 기원설과 역사를 가진 한국의 대표적인 봄철 풍습입니다. 답청(踏靑)은 음력 3월 삼짇날이나 청명일에 산이나 계곡을 찾아가 먹고 마시며 봄의 아름다운 경치를 즐기는 풍속을 말합니다. 새봄을 맞아 자연 속에서 휴식을 취하고 즐거움을 만끽하는 답청은 단순한 놀이를 넘어 한국인의 자연 사랑과 계절 변화에 대한 감수성을 엿볼 수 있는 중요한 전통 관습입니다.

답백초와 꽃놀이

답청은 다른 이름으로 답백초(踏白草)라고도 불리는데, 이는 ‘새로운 풀을 밟는다’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특별히 음력 3월 3일인 삼짇날을 답청절(踏靑節)이라고 부르며, 이날은 새봄이 찾아온 것을 기뻐하며 술과 음식을 준비하여 경치가 좋은 산이나 계곡을 찾아 꽃놀이를 하고, 갓 돋아난 부드러운 풀을 밟으며 봄의 기운을 만끽하는 날로 여겨졌습니다. 답청은 겨울 동안 움츠러들었던 몸과 마음에 활력을 불어넣고, 자연과의 교감을 통해 심리적인 안정과 즐거움을 얻고자 했던 조상들의 지혜를 엿볼 수 있는 풍습입니다.

중국 기원설과 역사

답청의 기원은 중국 당송시대로 거슬러 올라가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당시 중국의 수도였던 장안에서는 청명절에 묘제(墓祭)를 마친 남녀들이 함께 들로 나가 술을 마시고 즐기며 투백초(鬪百草)라는 풀싸움 놀이를 했다고 합니다. 또한, 『천록각식록(天錄閣識錄)』에는 장안 근교의 답청 풍경에 대해 “북을 가지고 교외에서 즐기며 아침에 가서 저녁에 돌아온다. 이것을 영부(迎富)라고 한다.”라고 기록되어 있어, 답청이 단순히 봄나들이를 넘어 복을 맞이하는 의미도 지니고 있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이러한 중국의 답청 풍습은 우리나라에 전해져 오랜 세월 동안 한국인의 삶 속에 뿌리내리게 되었습니다.

조선시대 답청 기록

조선시대의 문헌에서도 답청에 대한 기록을 찾아볼 수 있습니다. 조선 중기의 학자 김인후의 문집인 『하서전집(河西全集)』에는 ‘상사답청(上巳踏靑)’이라는 시가 실려 있는데, 이 시를 통해 삼짇날 답청의 흥겨운 분위기를 생생하게 엿볼 수 있습니다. 시인은 봄옷을 새로 마련하여 늦도록 답청을 즐기는 풍경을 묘사하며, 중국 고사의 곡수연(曲水宴)과 청류(淸流)에서의 시 읊기를 언급하여 답청의 풍류를 더하고 있습니다. 또한, 언덕 위의 붉은 꽃과 들판의 푸른 풀을 대비시키며 봄의 아름다움을 찬양하고 있습니다. 이처럼 조선시대 선비들에게도 답청은 봄의 정취를 느끼고 학문 연구에 지친 심신을 달래는 중요한 활동이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도성 풍속 물놀이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 3월 월내(月內)조에는 “도성 풍속에 산이나 계곡에서 물놀이하는 것을 꽃놀이[花柳]라고 한다. 이것은 상사일(上巳日: 삼짇날)에 답청하는 데서 유래한 풍속이다(都俗出遊於山阿水曲謂之花柳 卽上巳踏靑之遺俗也).”라고 기록되어 있어, 조선시대 도성 사람들에게 답청이 꽃놀이와 물놀이를 겸하는 형태로 발전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아름다운 꽃을 감상하고 시원한 계곡물에 발을 담그며 봄의 정취를 만끽하는 것은 답청의 중요한 요소였습니다. 이는 자연 속에서 즐거움을 찾고 심신의 피로를 회복하고자 했던 당시 사람들의 생활 모습을 반영합니다.

쑥떡과 화전 음식

답청 날에는 특별한 음식을 만들어 먹는 풍습도 있었습니다. 특히 부드러운 쑥잎을 따서 찹쌀가루에 섞어 만든 쑥떡은 봄철 대표적인 음식 중 하나였습니다. 쑥은 봄에 돋아나는 새싹으로 향긋한 향과 쌉쌀한 맛이 특징이며, 쑥떡은 봄의 기운을 느끼게 해주는 건강 음식이었습니다. 또한, 찹쌀가루 반죽에 진달래꽃을 비롯한 다양한 봄꽃을 올려 참기름을 발라가면서 둥글게 지져 먹는 화전(花煎) 역시 답청의 별미였습니다. 화전은 아름다운 꽃 모양과 찹쌀의 쫀득한 식감, 그리고 꽃의 향긋함이 어우러져 답청의 즐거움을 더했습니다. 이처럼 답청은 맛있는 음식을 함께 나누어 먹으며 봄의 풍요로움을 만끽하는 풍습이었습니다.

상사답청 흥겨움

김인후의 시 ‘상사답청’에서 드러나듯, 답청은 흥겨움과 즐거움이 가득한 봄나들이였습니다. 새 옷을 차려입고 자연 속으로 나아가 아름다운 경치를 감상하며 맛있는 음식을 먹고 마시는 것은 일상에서 벗어나 활력을 되찾는 소중한 시간이었습니다. 시인은 주나라의 곡수연이나 진나라 선비들의 청류에서의 시 읊기와 같은 고사를 통해 답청의 풍류를 강조하며, 붉게 핀 꽃과 푸르게 돋아난 풀처럼 생동감 넘치는 봄의 기운을 노래하고 있습니다. 답청은 단순히 자연을 감상하는 것을 넘어, 시와 음악, 음식이 어우러진 종합적인 문화 활동이었음을 짐작할 수 있습니다.

민간 오래된 풍습

『동국세시기』의 기록을 통해 알 수 있듯이, 답청은 조선시대 이전부터 이어져 내려온 민간의 오래된 풍습입니다. 삼국시대나 고려시대에도 답청과 유사한 형태의 봄나들이 풍습이 존재했을 것으로 추측됩니다. 오랜 역사 속에서 답청은 한국인의 삶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왔으며, 계절의 변화에 순응하고 자연을 즐기는 한국인의 심성을 잘 보여주는 전통 관습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현대 사회에서도 봄이 되면 많은 사람들이 꽃놀이나 봄나들이를 떠나는 것은 이러한 답청의 전통이 이어져 내려온 것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봄나들이를 의미하는 답청답백초라고도 불리며, 중국에서 기원한 것으로 알려져 있고, 한국에서는 예로부터 봄을 맞이하는 즐거움을 만끽하는 풍습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조선시대 문헌에도 그 기록이 남아 있을 정도로 오랜 역사를 지니고 있으며, 쑥떡과 화전과 같은 특별한 음식을 함께 나누어 먹으며 봄의 풍요로움을 즐겼습니다. 도성 사람들은 물놀이를 겸한 꽃놀이를 즐겼으며, 이는 민간의 깊은 풍습으로 이어져 내려오고 있습니다. 답청은 한국인의 자연 사랑과 계절의 변화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반영하는 아름다운 전통입니다.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TAG
more
«   2025/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