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우수의 정의와 봄의 도래를 알리는 절기인 우수는 눈 녹아 비가 되는 우수의 의미처럼 추운 겨울이 가고 완연한 봄을 맞이하는 시기이며, 우수의 3후와 자연의 변화를 통해 봄의 기운이 점차 확산되는 것을 느낄 수 있습니다. 24절기 중 두 번째 절기인 우수는 봄의 시작을 알리는 입춘과 동면하던 개구리가 깨어난다는 경칩 사이에 위치합니다. 양력으로는 2월 19일 또는 20일경이며, 태양의 황경이 330도에 이를 때입니다. 음력으로는 주로 정월에 해당하며, 우수(雨水)라는 이름처럼 눈이 녹아 비가 내린다는 의미를 담고 있어, 추운 겨울이 지나고 따뜻한 봄을 맞이하게 되었음을 상징적으로 보여줍니다.

     

    눈 녹아 비가 되는 우수의 의미: 겨울의 흔적이 사라지고 봄기운이 감돌다

    우수는 24절기를 상순의 절기(節氣)와 하순의 중기(中氣)로 나눌 때 중기에 해당합니다. 봄의 시작을 알리는 입춘이 절기인 반면, 우수는 겨울에서 봄으로 넘어가는 본격적인 변화를 의미하는 중기인 것입니다. “우수 뒤에 얼음같이”라는 속담은 우수 이후에는 얼음이 서서히 녹아 사라지는 것처럼 추위가 점차 누그러짐을 비유적으로 표현합니다. 이는 우수의 핵심적인 특징을 잘 나타내는 속담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 시기에는 꽃샘추위가 잠시 기승을 부리기도 하지만, “우수 경칩에 대동강 풀린다.”라는 속담처럼 우수와 경칩을 지나면 아무리 춥던 날씨도 점차 풀리고, 본격적인 봄기운이 느껴지며 초목이 싹트는 등 자연의 변화가 시작됩니다. 꽁꽁 얼어붙었던 대동강마저 녹기 시작한다는 속담은 우수가 가져오는 따뜻한 봄의 힘을 실감하게 해줍니다. 이처럼 우수는 겨울의 흔적이 점차 사라지고, 따스한 봄기운이 대지에 감돌기 시작하는 중요한 시점입니다.

    우수의 3후와 자연의 변화: 수달, 기러기, 초목을 통해 느껴보는 봄의 기운

    옛날 중국 사람들은 우수 입기일 이후 15일을 5일씩 세 번으로 나누어 그 특징을 세밀하게 관찰하고 기록했는데, 이를 3후(三候)라고 합니다. 첫 번째 5일 동안은 수달(水獺)이 겨울 동안 얼었던 강이 풀리면서 물고기를 잡아다 늘어놓는다고 묘사했습니다. 이는 얼었던 강이 녹아 수달이 먹이를 구하기 쉬워지는 자연 현상을 반영합니다.

    다음 5일 동안은 추운 지방의 새인 기러기가 따뜻한 봄기운을 피해 다시 추운 북쪽으로 날아간다고 했습니다. 이는 계절의 변화에 따라 이동하는 철새의 움직임을 정확하게 포착한 것입니다. 마지막 5일 동안, 즉 말후(末候)에는 본격적으로 풀과 나무에 싹이 돋아나 봄이 완연해짐을 알립니다. 이는 겨울 동안 잠자던 식물들이 따뜻한 햇볕과 함께 생명력을 되찾고 새로운 시작을 알리는 자연의 순환을 보여줍니다.

    이처럼 우수의 3후는 수달, 기러기, 초목의 변화를 통해 겨울에서 봄으로 넘어가는 섬세한 자연의 변화를 단계적으로 보여줍니다. 이는 예로부터 사람들이 자연을 얼마나 주의 깊게 관찰하고 그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했는지를 알 수 있게 해주는 중요한 기록입니다.

    속담에 담긴 우수의 특징과 의미: 삶의 지혜와 자연의 이치를 담다

    우수와 관련된 속담들은 이 시기의 날씨와 자연 현상의 특징을 간결하고 명확하게 보여줄 뿐만 아니라, 삶의 지혜와 자연의 이치를 담고 있습니다. “우수 뒤에 얼음같이”라는 속담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차 사라지는 것을 비유적으로 표현할 때 사용되며, 우수 이후 추위가 점차 누그러지는 현상을 빗대어 설명합니다.

    “우수 경칩에 대동강 풀린다.”라는 속담은 우수와 경칩이 되면 아무리 추운 날씨라도 풀리고 봄기운이 완연해짐을 강조합니다. 특히 대동강이라는 구체적인 지명을 사용하여 더욱 실감나게 봄의 도래를 알립니다. 이는 오랜 경험을 통해 얻은 조상들의 지혜가 담긴 속담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또한, 우수와 경칩 사이에는 꽃샘추위가 찾아오기도 하는데, 이는 봄으로 완전히 넘어가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일시적인 추위 현상입니다. 이러한 꽃샘추위는 봄을 기다리는 사람들에게는 다소 아쉬움을 남기지만, 자연의 순환 속에서 나타나는 당연한 현상으로 이해되었습니다. 이처럼 우수와 관련된 속담들은 날씨 변화와 자연 현상에 대한 조상들의 깊은 이해와 삶의 지혜를 엿볼 수 있게 해줍니다.

     

    결론적으로 우수는 우수의 정의와 봄의 도래를 알리는 24절기의 하나이며, 눈 녹아 비가 되는 우수의 의미처럼 겨울의 흔적이 서서히 사라지고 봄기운이 감도는 시기이며, 우수의 3후와 자연의 변화를 통해 봄의 생명력이 움트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 중요한 절후입니다. 우수와 관련된 다양한 속담과 풍습 속에는 추운 겨울을 이겨내고 따뜻한 봄을 맞이하는 우리 조상들의 기대와 자연에 대한 깊은 이해가 담겨 있습니다. 현대 사회에서도 우수는 여전히 봄의 시작을 알리는 중요한 절기로 인식되고 있으며, 이 시기에 느껴지는 따뜻한 봄기운은 새로운 시작을 준비하는 우리에게 희망과 활력을 불어넣어 줍니다.